기사제목 [기고] 왕(王)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기고] 왕(王)

기사입력 2021.02.16 11:03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2949438326_RhKpzDet_ECA1B0ED9998EB8F992.png
조환동 / 자유기고가.

[아산신문] '왕(王)'은 한 나라의 군주(君主), 즉 임금을 뜻하는 말이지만, 원래 이들의 출신은 힘이 센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인류가 탄생하여 씨족사회를 이룰 때 까지만 해도 '왕(王)'이라는 존재는 없었다. 그러나 규모가 커져 부족사회가 되자 그 중 힘이 가장 센 자가 부족장(部族長)이 되었고, 그 나머지 사람들은 그의 부하가 되어 살게 되었다.

 

그 후 세월이 흘러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부족끼리 합치게 되었고, 이것이 커져 '나라'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당연히 싸움 잘하는 완력자(腕力者)가 통치자 즉 왕(王)이 되었으며 그 밖의 사람들은 어쩔 수 없이 그의 독재를 받게 되었다. 그렇게 인류는 수 천년 동안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의 치하에서 살고 있었다. 인민들은 족벌 세습 독재 체제하의 노비들로 살 수 밖에 없었다.

 

더 세월이 흘러 전제군주제는 약해졌고 무너지기 시작했다. 한반도에도 이런 기류(氣流)가 일었다. 고려(高麗) 신종 1년(1198), 고려 무신정권의 집권자였던 '최충헌(崔忠獻)'의 노비인 '만적(萬積)'은, 노비들을 불러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왕후장상(王侯將相)이 어찌 원래부터 씨가 있겠는가. 각기 자기 상전(上典)을 제거하고 노예의 문적(文籍)을 불질러, 나라로 하여금 노비가 없는 곳으로 만들자" 라고 외쳤다.

 

이런 기운은 세계 도처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왕(王)들은 사라졌고, 민주주의(民主主義)가 들어서게 되었다. 바햐흐로 인민이 주인인 세상이 된 것이다.  

 

그러나 아직도 지구상에는 왕들이 독재하는 왕국(王國)들이 여럿 남아 있다. 대표적인 예(例)로 영국, 스페인, 벨기에, 덴마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스웨덴, 일본 등은 아직도 입헌군주제(立憲君主制) (왕은 있으되 실권은 없는 것)를 채택하고 있다.  

 

또 '사우디아라비아'나 '브루나이' 처럼 전제군주제(專制君主制)를 하면서 무소불위(無所不爲)의 권력을 휘두르는 왕국들도 있다. 또는 겉으로는 민주주의를 표방하지만, 북한, 중국, 베트남, 쿠바, 라오스, 러시아 처럼 일당(一黨) 독재 공산주의를 자행하는 나라들도 있다.

 
'민주주의(民主主義)'라는 단어는 일본인이 만들었다. 일찌기 개화한 일본은 서양 근대 문물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한자(漢字)를 빌어 'Democracy'를 '민주주의(民主主義)'라는 말을 새로 만들었다. 그 당시 조선과 중국은 일본과 마찬가지로 민주주의가 존재하지도 않았고, 그래서 그런 단어가 불필요 했기에 '민주주의'라는 말이 있을리 만무했다.  
 
그래서 일본인들도 처음에는 'Democracy'를 무슨 말로 번역해야 할 지 난감했을 것이다. 그러다가 고민한 끝에 '인민(人民)이 나라의 주인(主人)이다'라는 착상에 이르렀을 것이다. 이 '민주주의(民主主義)'라는 단어는 당시 일본에서 공부했던 조선인과 중국인들이 그들의 나라로 복귀하면서 사람들에게 전파되었다.
 
하루 속히 불필요한 존재들인, 왕과 왕국들 그리고 일당(一黨) 공산독재체제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지기를 바란다. 그리하여 인민들이 주인인 세상인 민주주의 국가가 되기를 기대한다. 

 

[조환동 자유기고가 기자 @]
<저작권자ⓒ아산신문 & assinmun.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이름
비밀번호
자동등록방지
71292
 
 
 
 
 
     주소 : 충남 아산시 모종남로 42번길 11(모종동) l 등록번호 : 충남,아00307(인터넷) / 충남,다01368(주간) l 등록일 : 2017. 07. 27         
           발행인·편집인 : 김명일 ㅣ 편집국장 : 박승철 ㅣ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현자
               대표전화 : 1588-4895 l 기사제보 : 041-577-1211 이메일 : asan.1@daum.net      
    
                            Copyright ⓒ 2017 아산신문 All rights reserved.  
                   
아산신문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습니다. 무단 전제·복사·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