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장 출마를 선언한 더불어민주당 장기수 예비후보(사진 위)와 국민의힘 유원희 예비후보(사진 아래)가 잇따라 천안-아산 특례시 공약을 내놓았다. 하지만 정작 아산시장 예비후보군의 반응은 싸늘하다. Ⓒ 사진 = 지유석 기자
[아산신문] 6.1전국동시지방선거 천안시장 출마를 선언한 예비후보들이 잇따라 천안·아산 특례시 공약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정작 아산시장 예비후보군의 반응은 싸늘하다.
포문은 더불어민주당 장기수 예비후보가 열었다. 장 예비후보는 지난달 28일 천안·아산 특별자치시 추진을 첫 공약으로 제시했다.
국민의힘에서도 비슷한 공약이 나왔다. 유원희 예비후보는 12일 오전 천안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천안과 아산을 행정적으로 통합해 특례시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유 예비후보는 “천안과 아산은 오랜 기간 역사적, 경제적 동일 생활권을 공유하며 경쟁과 협력을 함께 했지만, 통합의 갈등과 불편만 가중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규모의 경제가 시민들에게 돌아가는 긍정적 효과를 묵과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여야를 막론하고 아산시장 예비후보들은 반대 입장을 보였다. 기자는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아산시장 예비후보에게 설문을 의뢰했고 이에 대해 황재만 현 아산시의회 의장(더불어민주당), 박경귀 전 아산을 당협위원장, 전만권 전 천안시부시장(이상 국민의힘)이 답변을 해왔다.
이들 예비후보들은 예외 없이 ‘반대’ 입장을 표시했다. 먼저 황 의장은 “아산시는 세계5대 도시로의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천안시보다 더 발전할 수 있는 여러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천안-아산 특례시에 반대하는 입장”이라고 답했다.
박경귀 전 아산을 당협위원장은 더 나아가 천안시장 예비후보들의 천안-아산 특례시 공약 발표가 “일고의 가치도 없는 정략적 선전”이라고 비판했다.
“천안시와 아산시는 역사, 지리, 인문적 정체성 뿐만 아니라 산업 기반과 성장 잠재력의 차이가 분명한 만큼 어떤 명분으로도 통합은 바람직하지도 않고 실현가능성도 전혀 없다. 특히 아산시민들과 어떠한 공감도 이루어진 바 없다”는 게 그의 반대 이유다.
전만권 전 부시장은 마산·창원·진해를 한데 묶은 ‘마창진’을 예로 들며 “이 세 도시는 통합 과정에서 합의점을 찾기 위해 지난한 과정을 거쳤다. 이렇듯 아산시민 동의 없는 특례시는 있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메가시티 보다는 강소도시가 바람직한 방향이다. 천안시장 예비후보가 특례시를 언론에 자꾸 언급하는 건 부적절하다고 본다”는 뜻을 전했다.
오세현 시장 쪽은 “굳이 이 문제(천안·아산 특례시)에 언급할 필요를 느끼지 못한다”며 즉답을 피했다.